尹, 수용자번호 달고 서울구치소 3평 독방에 머문다
-2025. 1. 19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19일 발부됨에 따라 윤 대통령은 앞으로 10㎡(3평) 남짓한 독방으로 이동해 머물 예정이랍니다.
법조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이후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 내 구인 피의자 거실에서 머물러 왔다. 윤 대통령은 구속 영장 발부로 미결수용자 신분이 되면서 정식 구치소 입소 절차를 밟게 된다.
윤 대통령의 정식 입소 절차는 19일 오전 9시 이후에 이뤄질 전망이다. 우선 수용번호를 발부받은 뒤 키와 몸무게 등을 확인하는 정밀 신체검사를 받는다. 이후 카키색의 혼방 재질 미결수용자복으로 갈아입은 뒤 수용자 번호를 달고 얼굴 사진인 '머그샷'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답니다
앞서 윤 대통령이 체포된 뒤 서울구치소에 입소할 당시는 구속 전 신분이었기에 간이 입소 절차에 따라 별도 신체검사나 사진 촬영은 이뤄지지 않았다. 입소 절차를 마치면 수용동으로 옮겨져 10㎡ 남짓한 독방에 수용될 것으로 보인다.
역대 대통령들이 구금된 구치소의 방 크기도 이 정도 수준이었다. 2017년 3월 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용됐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일반 수용자 6∼7명이 함께 쓰는 혼거실을 개조해 만든 약 3.04평(화장실 포함·10.08㎡) 넓이의 독방에서 생활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2018년 3월 구속과 함께 서울동부구치소의 3.95평(화장실 포함·13.07㎡) 면적의 독거실에 수용됐다.
윤 대통령이 머물 방 내부에는 관물대, 싱크대, TV, 책상 겸 밥상, 식기, 변기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침대는 없으며 바닥에 이불 등을 깔고 수면하는 형태다. 바닥에는 보온을 위한 전기 패널이 깔려 있답니다
구치소 수용 후 김건희 여사의 면회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서울구치소의 면회는 통상 1일 1회 가능하다. 변호인 접견은 일과 시간 중 수시로 가능하다.
“윤석열 머그샷 찍는다”…외신도 ‘윤 대통령 구속’ 긴급 타전
-2025. 1. 19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내란 수괴(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되자 외신들도 이 소식을 긴급 타전했다. 외신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부지방법원에 습격해 난동을 부린 점에도 주목했습니다.
AP통신은 전날 구속영장실질심사가 종료된 지 약 8시간 만에 윤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됐다며 “윤 대통령은 이제 공식적으로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 구속이 “수 개월 혹은 그보다 오래 구금될 수 있다는 시작을 알리는 소식”이라고 전했다.
미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도 이날 법원이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윤 대통령 구속영장을 발부했다고 전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최대 20일 동안 서울구치소에 구금되며, 이 기간 동안 검찰이 기소하면 몇 달 더 구금될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WP는 “체포되기 전 윤 대통령은 서울에 있는 관저에 틀어박힌 채 (공수처의) 출석 요구를 세 차례나 무시했으며, (체포) 영장 집행도 방해했다”며 지난 15일 경찰 3200여명이 관저에 투입된 끝에 붙잡혔다고 전했다.
일본 아사히신문도 윤 대통령이 구속됐다는 소식을 긴급 타전하며 “이제 윤 대통령은 구속 상태로 조사를 받게 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체포된 이후 전혀 조사에 응하지 않는 등 철저히 전투적인 자세를 보여왔던 것이다”고 짚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