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 최상목 아버지 어머니 부모님 종교 고향 성향 자녀

2024. 12. 27. 21:00카테고리 없음

최상목 경제부총리 후보자…6년여만에 '친정 복귀'
-2023. 12. 4.

 4일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낙점된 최상목 후보자는 거시 정책과 금융을 아우른 정통 경제관료입니다.


1963년생 서울 출신으로, 오산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29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2004∼2007년 재정경제부 증권제도과장, 금융정책과장 등을 지내면서 현 자본시장통합법 입안을 주도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 취임을 앞둔 2007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실무위원을 맡았다. 이후 기획재정부에서 장관 정책보좌관, 미래전략정책관 등을 역임했다.

2010년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는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를 추진했고 2011년 기재부로 돌아와 정책조정국장과 경제정책국장 등 거시경제 요직을 섭렵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2017년 기재부 1차관을 지냈던 것을 고려하면 6년여만에 친정으로 복귀한 셈이랍니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기소됐던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 밑에서 경제금융비서관으로 일하기도 했다. 최 후보자는 당시 기소되지는 않았지만, 관련 경력이 낙인이 돼 사실상 야인생활을 하다 2020년 농협대 총장을 맡으며 대외 활동을 시작했다.

지난해 3월 대통령직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로 복귀하면서 현 정부 경제정책을 주도했다.

한편 관료 사회에서 차기 부총리 후보로 항상 이름을 올릴 만큼 능력을 인정받아 왔다. 경제 관료로는 매우 드물게 금융 분야와 거시정책 분야에서 각각 요직으로 꼽히는 금융정책과장과 경제정책국장을 모두 거친 이력이 이런 세평을 방증한답니다.

▲ 서울(59) ▲ 고등학교 - 오산고·서울대 법학과·미국 코넬대 대학원(경제학 박사) ▲ 행정고시 29회 ▲ 재정경제부 증권제도과장·금융정책과장 ▲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위원회 실무위원 ▲ 기획재정부 장관정책보좌관·미래전략정책관 ▲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역임 ▲ 기재부 정책조정국장·경제정책국장·부총리 정책보좌관 ▲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실 경제금융비서관 ▲ 기획재정부 제1차관 ▲ 농협대 총장 ▲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간사 ▲ 대통령실 경제수석 역임

'새 권한대행' 최상목 "혼란 최소화, 국정 안정에 최선"
-2024. 12. 27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27일 "국무위원의 한 사람으로서 현 상황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국회의 탄핵소추로 이날 오후 5시 19분부터 직무정지된 한덕수 국무총리에 이어 권한대행 역할을 맡게 된 최 대행은 서면 대국민 담화를 통해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송구하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최 대행은 "지금은 국정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는 국정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또 "굳건한 안보, 흔들림 없는 경제, 안정된 치안 질서 등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일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최 대행은 이어 공직사회를 향해선 "나라가 어려울수록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인 공직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한 치의 소홀함 없이 맡은 바 책임을 다해 주길 바란다"고 했답니다.

그는 "국민 여러분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정부의 책임 있는 대응이 합쳐진다면 지금의 위기도 능히 이겨낼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며 "국정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담화 발표 뒤 최 대행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했다. 그는 대통령 및 국무총리 권한대행과 함께 기획재정부 장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국정을 이끌어가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