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수석 아들도 시력장애 아내도 의문사... '서울의 봄' 참군인들의 비극적 삶
-2023. 12. 3
전두환 전 대통령(당시 보안사령관)을 필두로 육군 내 사조직 '하나회'가 1979년 12월 12일 일으킨 군사반란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이 지난달 30일 기준 개봉 6일 만에 관객수 271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열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영화에는 반란군에 맞서는 정의로운 군인 이태신(정우성) 수도경비사령관과 그를 돕는 공수혁(정만식) 특전사령관과 김준엽(김성균) 육군본부 헌병감이 있고, 죽음을 각오하고 이들을 따랐던 오진호(정해인) 소령과 병사들이 나온다. 영화에서는 12·12 쿠데타 당시 이들의 9시간만 극적으로 다뤄진다. 반란군에 맞섰던 실존 인물들은 쿠데타 이후 신군부가 권력을 잡으면서 비극적인 삶을 살았답니다.
장태완 수경사령관, 부친은 사망·서울대 수석 아들은 의문사
영화 속 이태신의 실존 인물인 장태완 수경사령관(육군 소장)은 12ㆍ12 쿠데타 이후 보안사령부 서빙고 분실로 끌려가 가혹한 조사를 받았다. 1980년 2월 풀려나면서 강제 전역한 장 소장은 이후 6개월 동안 사실상 가택연금을 당했다. 그의 부친은 아들의 고초를 본 후 충격으로 곡기를 끊었고 1980년 4월 세상을 떠났습니다.

비극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서울대 자연대에 수석 입학한 장 소장의 아들 성호(당시 20세)씨는 1982년 1월 학교에 다녀오겠다고 나간 후 행방불명됐다. 한 달 후인 2월 9일 장 소장의 고향인 경북 칠곡 낙동강 기슭 조부 묘소 옆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장 소장은 꽁꽁 언 아들을 끌어안고 “나 때문에 이렇게 됐어. 좀 더 따뜻하게 아들을 감싸 안아줘야 했다”며 오열했다.
장 소장은 1993년 펴낸 회고록 ‘12ㆍ12 쿠데타와 나’에서 “미칠 정도로 아들놈 생각이 나면 밤이고 낮이고 때를 가리지 않은 채 묘지로 달려가 대성통곡을 하고 그러다 지쳐버리면 그놈 옆에 누워 밤을 같이 새워본 일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대문 소리만 나면, 대문 안으로 들어서던 아들놈 생전 모습이 선하게 들어왔다. 그럴 때면 아들놈의 공부방으로 건너가 내 안주머니에 고이 간직하고 있던 아들놈 머리털 한 줌을 어루만지다가 다시 볼에 비벼대며 마치 미친 사람처럼 대화를 정말로 나누곤 했다"고 절절한 심정을 밝혔답니다.
김영삼,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장 소장은 정계에 진출했다. 장 소장은 2002년 3월 "12ㆍ12쿠데타를 진압하지 못해 멸문지화를 입었던 사람으로서 신군부 세력에 의해 박해를 받았던 김대중 대통령을 돕고 600만 재향군인들의 권익을 향상하겠다”며 새천년민주당에 입당, 16대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이후 장 소장은 2010년 7월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떠나고 2년 뒤인 2012년 1월엔 그의 아내가 아파트 단지에서 숨진 채 발견돼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